본문 바로가기
tip!!

국세청 사칭 환급금 피싱, 이렇게 막으세요!: 진짜 환급 절차까지 총정리

by Soniasoso 2025. 4. 17.
Contents 펼치기
반응형

📌 국세청 사칭 피싱, 이렇게 당하지 마세요!

최근 국세청, 세무서, 국세공무원을 사칭한 피싱전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환급금이 발생했다며 개인정보나 금전을 요구하는데요, 실제로는 국세청은 아무런 신고 없이 세금을 환급해주는 일이 없습니다.

정상적인 절차 없이 갑자기 “환급금이 발생했다”고 연락이 온다면? 고민할 필요도 없이 즉시 전화를 끊고, 경찰청(☎112),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세요!

💰 환급금은 언제 생기고,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국세 환급금은 아래와 같은 세 가지 경우에만 발생합니다.

  • ① 환급신청 신고: 소득세, 부가세 확정신고, 경정청구 등으로 환급 신청
  • ② 장려금 신청: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시 지급 (자동 신청도 일부 가능)
  • ③ 초과납부: 세금을 더 낸 경우, 초과분에 대해 환급

☝ 즉, 신청하지 않았는데 환급금이 있다는 연락은 피싱일 가능성이 큽니다!

📨 국세 환급금 발생 시, 실제 진행 절차

환급금이 발생하면 국세청은 '국세환급통지서'를 발송합니다. 이 통지서에는 아래의 환급 방법이 안내되어 있습니다.

  • 1) 환급계좌 등록자: 신청 시 입력한 계좌로 자동 이체
  • 2) 계좌 미등록자: 환급통지서를 지참하고 우체국 방문하여 현금 수령

TIP: 우체국 방문이 어려운 경우, 홈택스/손택스에서 환급계좌 등록 후 계좌로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 국세공무원이 실제로 전화하는 경우는?

국세청 직원이 전화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 2가지 경우에 한합니다.

  • ① 환급통지서 발송 후 장기간 미수령 – 수령을 독촉하는 전화
  • ② 계좌번호 오류 발생 시 – 환급처리를 위한 계좌번호 확인 전화

이 경우에도 절대로 주민등록번호, 카드번호 등 민감 정보는 요청하지 않습니다. 오직 은행명과 계좌번호 정도만 확인할 뿐입니다.

Q: 공무원이 맞는지 의심된다면 어떻게 하나요?

A: 직접 홈택스(https://www.hometax.go.kr) 또는 손택스 앱에서 계좌등록을 하거나, 국세청 고객센터(☎126)에 확인 전화하면 안전합니다.

🚨 이런 전화 받으면 무조건 의심하세요

  • “환급금이 있는데 바로 계좌번호 알려주세요”
  • “지금 링크 눌러서 정보 입력해주세요”
  • “지금 입금하지 않으면 환급이 안 됩니다”

위 문구가 포함된 전화나 문자, 메일은 전부 피싱입니다. 절대 응답하지 마시고 즉시 차단, 신고하세요.

 


 

국세환급금은 무조건 신청이 선행되어야 하며, 국세청은 절대 먼저 전화를 걸어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모르는 번호로 환급금 이야기? 일단 피싱부터 의심하세요!” 이 한 가지 원칙만 기억하시면 피해를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