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p!!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통해 연말 정산 준비하기 과세표준 소득공제 한도 개정 세법

by Soniasoso 2023. 11. 16.
Contents 펼치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미리 보기, 간소화 자료 서비스가 10월 30일에 오픈되었습니다. 이 서비스는 올해 9월까지 개인 비용 지출 내역과 지난해 연말정산 내용을 기초로 12월 중순까지 국세청 홈텍스에서 제공합니다.

 

미리 세액을 계산하고 작년과 얼마나 달라졌는지 알아볼까요?

 

 

어떻게 확인할까

 

국세청 홈택스 > 장려금, 연말정산, 전자기부금 > (근로자용)연말정산 미리 보기 > 간소화 자료 조회 > 자료제공동의 신청 후 확인이 가능합니다.

 

 

올해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총급여액과 올해 납부한 세금, 부양가족, 교육비, 기부금, 카드사용액 등을 입력하면 남은 기간 절세 방법, 놓치기 쉬운 소득세 감면, 맞벌이의 경우 누가 받는 게 유리한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과세 표준 및 소득공제 한도

 

우리나라 조세 정책은 적게 버는 사람에게는 적게 세금을 부과하고 많이 버는 사람에게는 높은 세율을 적용합니다. 소득 5천만 원 이하의 경우 세율이 15%로 유리해졌으나, 1.2억 초과 급여자는 공제 한도가 20 ~ 50만 원으로 공제한도가 축소되었습니다. 달라지는 부분들을 한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세 과세 표준조정

현행 (~2022.12.31 소득분) 개정 (2023.01.01~ 소득분)
과세표준 세율(%) 과세표준 세율(%)
1,200만원 이하 6 1,500만원 이하 6
1,200만원 ~ 4,600만원 이하
15 1,500만원 ~ 5,0000만원 이하 15
4,600만원 ~ 8,800만원 이하
24 5,000만원 ~ 8,800만원 이하 24
8,800만원 ~ 1.5억원 이하
35
(좌동)
1.5억원 ~ 3억원 이하
38
3억원 ~ 5억원 이하
40
5억원~10억원 이하
42
10억원 초과 45

 

2023년 1월 1월 이후 소득분부터 소득세 과세 표준이 위의 표와 같이 조정되었습니다. 과세 표준 1,200만 원~1,500만 원 구간에 있는 분들과 4,600만 원 ~ 5,000만 원 과세 표준 구간이 있는 분들은 기존 세율 대비 9% 절감되어 과세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소득세액 공제 한도

총 급여 현행 개정
3,300만원 이하 74만원
(좌동)
3,300만원 ~ 7,000만원 이하
66만원 ~ 74만원
7,000만원 ~ 1.2억원 이하
50만원 ~ 66만원
1.2억원 초과 (신설)
20만원 ~ 50만원

 

근로소득세액 공제한도는 1.2억 원 초과 급여자에 대해 공제 한도가 기존 50 ~ 66만 원에서 20 ~ 50만 원으로 축소되었습니다.

 

 

 

2023년 연말정산 개정세법

기부금 세액공제

고향사랑기부금 신설

  1. 기부금액 10만 원 이하: 지방세 포함 전액 세액공제, 30% 답례품 제공
  2. 기부금액 10만 원 초과 : 15% (500만 원 제공)

노동조합 조합비

소속된 노동조합이 11.30. 까지 결산결과를 공시하면 23.10월~12월에 납부한 조합비 15% (1천만 원 초과 30%) 세액공제 가능. 올해 1~9월에 납부한 조합비는 회계공시와 관계없이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의 경우 올해 7월 1일부터 지출한 영화관람료는 문화비에 포함되어 100만 원 한도까지 소득공제 대상입니다. 작년에도 한시적으로 적용되었던 대중교통 사용분이 40% → 80%로 확대되어 그대로 적용된다고 합니다.

 

총 급여 기본공제 추가공제
전통시장 대중교통 도서공연
7천만 원 이하 300만 원 300만원
7천만 원 초과 250만 원 200만원

 

  • 영화관람료도 종전 도서, 공연, 미술관, 박물관 사용금액과 함께 30% (2023년 7월 1일 이후 사용분) 소득 공제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관련해서 기존 공제한도 300만 원에서 400만 원(무주택자, 공제율 40% 동일)으로 확대 
  • 회사에서 주는 식사대는 월 10만 원 한도에서 비과세였지만,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로 한도가 확대 

 

연금계좌·교육비·월세 세액공제

  • 수능응시료·대학입학전형료를 공제대상 교육비에 포함
  • 학자금대출 상환도 15% 세액공제(교육비) 대상
  • 연금계좌 공제한도 상향
  •  400만 원(퇴직연금 포함 700만 원) → 600만 원(900만 원)
  • 월세 세액공제 대상주택 기준시가 상향 (3억 원 → 4억 원)
  •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 월세액 15% 세액공제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 14~34세 청년 소득세 감면율 90% (한도 200만 원)
  • 고령자·장애인·경력단절여성 감면율 70% (한도 200만 원)

 

연말정산 언제부터 시작일까?

2023년 1월~12월 재직한 근로자는 납부한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에 대한 연말정산을 2024년 1월~3월 진행합니다.

 

 

매해 바뀌지만 2023년에도 많은 것들이 바뀌었는데요 챙기지 않으면 돌려받을  없는 연말정산을 미리 알아두고 미리보기 통해 놓치는 항목 없는 지 확인해 보시고 13월의 월급을 챙기셨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